버전관리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[git & github 기초] 5. 브런치, 커밋 삭제 1. 커밋을 삭제하는 방법 삭제할 브런치 생성 파일생성 ( 상황을 위해 세팅하는 과정 ) staging area에 file1.txt 파일 추가 삭제하는 과정 파악하기 위해 임의로 여러 커밋들을 등록 세번쨰 커밋 파일 2개 추가 세팅 완료! log 확인 앞서 만든 파일들은 모두 커밋했으므로 추적이 가능! # 삭제하는 방법은? 첫번째 방법 : 파일 직접 삭제 직접삭제 => 스테이징 영역으로 이동 => 취소상태로 변경 두번쨰 방법 : 명령어입력 git rm file2.txt 근데 삭제가 되지 않았다! 이유는 현재 위치가 git-basics이므로 찾지 못함! 경로를 잘 알려줘야함 위치 이동후 명령어 실행 차이점이 있다! 첫번째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스테이징 영역에 수정사항을 추가해야한다. (빨간색은 삭제된 상태.. [git & github 기초] 3. repository init 과 commit 생성 깃을 사용하여 실습해보자. 1. 저장소와 프로젝트를 초기화 명령어 : git init 2. 현재 깃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 명령어 : git status master branch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또한, 커밋이 하나도 없다. ( 저장된 스냅샷이 없다.) 또한 트랙하지 않은 파일에 test.txt가 존재하는데 기본적으로 우리가 스냅샷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git에서 해당파일을 추적(tracking)하도록 알려줘야 한다. 3. git에게 test.txt 추적하라고 지시 명령어 : git add test.txt cmd창에는 변화없지만 staging area에 test.txt가 추가되었다. 우리는 이 구역의 추적하는 파일들을 커밋하길 원한다. ( 스냅샷에 추가를 원한다. ) 이 상태가 깃이 파일을 트래킹하는.. [git & github 기초] 2. git 기초 이해 용어정리 working directroy : 현재 작업 중인 파일과 폴더들이 모여있는 공간 repository : 모든 트랙(추적)파일과 폴더가 모여있는 공간 - commit : 단일 코드 스냅샷을 의미 - branch : 커밋이 저장된 공간 ex) 작업 디렉터리에서 작업 후 이미지 저장할 때 커밋 이름을 "이미지 추가"등으로 주석 저장하면 다른 사람이 이해편함 즉, 어떤 작업을 변경할 때 마다 커밋으로 "버튼 고침", "이미지 추가"와 같이 저장하는것 하지만 repository에 저장되는 것은 아님 ( where? master branch or main branch ) 또한, feature branch를 생성하여 스냅샷을 저장한 뒤 master branch에 옮길 수 있다. 이전 1 다음